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4월 2일 (미국 현지 시각)ㅣ미국증시 마감 요약 정리

by 경제리 2025. 4.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 미국 증시가 보여준 변동성은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정책 발표로 인해 크게 요동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새로운 관세 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장 반응, 그리고 전문가들의 견해를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 정책 주요 내용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새로운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 질서에 상당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 모든 수출국에 대한 기본 관세율 10% 적용
  • 무역수지 불균형이 큰 60개국에 대한 차등 관세 부과
  • 주요국 관세율:
    • 중국: 34%
    • 한국: 25%
    • 일본: 24%
    • EU: 20%

2. 정책 시행 일정

백악관이 발표한 관세 정책 시행 일정은 다음과 같이 단계적으로 진행됩니다.

  • 4월 5일: 전체 국가 대상 기본 관세율(10%) 적용 시작
  • 4월 9일: 미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시작

3. 시장 반응 및 영향

이번 관세 정책 발표는 즉각적인 시장 반응을 불러왔습니다.

  • 정규장 마감: S&P 500 지수 0.7% 상승
  • 시간외 거래: 3% 이상 급락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4bp 상승하여 4.21% 기록

4. 전문가들의 시각

주요 금융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B. 라일리의 아트 호건

새로운 관세 정책의 복잡성을 지적하며, 시장이 아직 이러한 변화를 완전히 반영하지 못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블루칩 트렌드 리포트의 래리 텐타렐리

기본 관세율 10%만 발표되었다면 시장이 긍정적으로 반응했을 것이나, 예상을 뛰어넘는 높은 관세율로 인해 단기적으로 큰 변동성이 예상된다고 전망했습니다.

KKM 파이낸셜의 제프 킬버그

현재 상황을 여전히 진행 중인 협상 과정으로 해석하며, 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5. 기업들의 대응: 자사주 매입 감소

새로운 무역 환경에 대한 기업들의 신중한 태도가 관찰되고 있습니다.

  • 3월 자사주 매입 규모: 391억 달러 (2020년 10월 이후 최저)
  • 2019년 이후 3월 기준 최저치 기록
  • 기업들의 현금 보유 선호 현상 강화

6. 향후 전망 및 시사점

이번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능성 증가
  • 인플레이션 압박 우려
  • 국제 무역 갈등 심화 가능성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정책은 글로벌 무역 질서에 상당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시장은 이러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기업들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무역 파트너들의 대응과 협상 진행 상황을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수 있는 리스크를 면밀히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베센트 재무장관의 발언처럼 향후 전개될 협상 과정과 무역 파트너들의 대응이 시장의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보복 관세 여부가 향후 시장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